본문 바로가기

Algorithm(Python)

[Python] 프로그래머스 - 피로도 (dfs)
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87946\

 

[Python] 프로그래머스 - 피로도 (dfs)

문제 설명

XX게임에는 피로도 시스템(0 이상의 정수로 표현합니다)이 있으며, 일정 피로도를 사용해서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각 던전마다 탐험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와 던전 탐험을 마쳤을 때 소모되는 "소모 피로도"가 있습니다. "최소 필요 피로도"는 해당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 가지고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피로도를 나타내며, "소모 피로도"는 던전을 탐험한 후 소모되는 피로도를 나타냅니다. 예를 들어 "최소 필요 피로도"가 80, "소모 피로도"가 20인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서는 유저의 현재 남은 피로도는 80 이상 이어야 하며, 던전을 탐험한 후에는 피로도 20이 소모됩니다.

이 게임에는 하루에 한 번씩 탐험할 수 있는 던전이 여러개 있는데, 한 유저가 오늘 이 던전들을 최대한 많이 탐험하려 합니다. 유저의 현재 피로도 k와 각 던전별 "최소 필요 피로도", "소모 피로도"가 담긴 2차원 배열 dungeons 가 매개변수로 주어질 때, 유저가 탐험할수 있는 최대 던전 수를 return 하도록 solution 함수를 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k는 1 이상 5,000 이하인 자연수입니다.
dungeons의 세로(행) 길이(즉, 던전의 개수)는 1 이상 8 이하입니다.
dungeons의 가로(열) 길이는 2 입니다.
dungeons의 각 행은 각 던전의 ["최소 필요 피로도", "소모 피로도"] 입니다.
"최소 필요 피로도"는 항상 "소모 피로도"보다 크거나 같습니다.
"최소 필요 피로도"와 "소모 피로도"는 1 이상 1,000 이하인 자연수입니다.
서로 다른 던전의 ["최소 필요 피로도", "소모 피로도"]가 서로 같을 수 있습니다.

입출력 예 설명


현재 피로도는 80입니다.

만약, 첫 번째 → 두 번째 → 세 번째 던전 순서로 탐험한다면

현재 피로도는 80이며, 첫 번째 던전을 돌기위해 필요한 "최소 필요 피로도" 또한 80이므로, 첫 번째 던전을 탐험할 수 있습니다. 첫 번째 던전의 "소모 피로도"는 20이므로, 던전을 탐험한 후 남은 피로도는 60입니다.
남은 피로도는 60이며, 두 번째 던전을 돌기위해 필요한 "최소 필요 피로도"는 50이므로, 두 번째 던전을 탐험할 수 있습니다. 두 번째 던전의 "소모 피로도"는 40이므로, 던전을 탐험한 후 남은 피로도는 20입니다.
남은 피로도는 20이며, 세 번째 던전을 돌기위해 필요한 "최소 필요 피로도"는 30입니다. 따라서 세 번째 던전은 탐험할 수 없습니다.
만약, 첫 번째 → 세 번째 → 두 번째 던전 순서로 탐험한다면

현재 피로도는 80이며, 첫 번째 던전을 돌기위해 필요한 "최소 필요 피로도" 또한 80이므로, 첫 번째 던전을 탐험할 수 있습니다. 첫 번째 던전의 "소모 피로도"는 20이므로, 던전을 탐험한 후 남은 피로도는 60입니다.
남은 피로도는 60이며, 세 번째 던전을 돌기위해 필요한 "최소 필요 피로도"는 30이므로, 세 번째 던전을 탐험할 수 있습니다. 세 번째 던전의 "소모 피로도"는 10이므로, 던전을 탐험한 후 남은 피로도는 50입니다.
남은 피로도는 50이며, 두 번째 던전을 돌기위해 필요한 "최소 필요 피로도"는 50이므로, 두 번째 던전을 탐험할 수 있습니다. 두 번째 던전의 "소모 피로도"는 40이므로, 던전을 탐험한 후 남은 피로도는 10입니다.
따라서 이 경우 세 던전을 모두 탐험할 수 있으며, 유저가 탐험할 수 있는 최대 던전 수는 3입니다.

나의 풀이

maxcount = 0

// 주어진 피로도 k와 던전 목록 dungeons을 사용하여 최대 던전 수를 계산
function solution(k, dungeons) {
    let maxCount = 0; // 최대 던전 수를 저장할 변수

    // 각 던전을 탐험할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배열
    const checkMap = new Array(dungeons.length).fill(0);

    // 깊이 우선 탐색 함수
    function dfs(k, dungeons, checkMap, count) {
        if (maxCount < count) {
            maxCount = count;
        }

        for (let i = 0; i < dungeons.length; i++) {
            const dungeon = dungeons[i];

            // 현재 던전을 아직 탐험하지 않았고, 피로도가 충분하다면 탐험
            if (dungeon[0] <= k && checkMap[i] === 0) {
                k -= dungeon[1];
                checkMap[i] = 1;
                dfs(k, dungeons, checkMap, count + 1);
                k += dungeon[1];
                checkMap[i] = 0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}

    // 탐험 시작
    dfs(k, dungeons, checkMap, 0);

    return maxCount;
}

 

 

풀이


- 최대 던전 수를 저장할 변수 maxCount를 0으로 초기화합니다.
- 각 던전을 탐험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배열 checkMap을 생성하고 모든 요소를 0으로 초기화

 

dfs 함수 구현:

- 현재 피로도 k, 던전 목록 dungeons, 탐험 여부를 체크하는 checkMap, 탐험한 던전 수를 나타내는 count를 인자로 받으며 재귀적으로 모든 가능한 던전 조합을 확인
- 현재 탐험한 던전 수가 maxCount보다 크면 maxCount를 업데이트
- 모든 던전을 순회하면서 아직 탐험하지 않은 던전 중 피로도가 충분한 경우, 해당 던전을 탐험하고 dfs 함수를 재귀 호출.탐험 후에는 피로도를 되돌리고 던전 탐험 여부를 체크를 해제

시간 복잡도:

- 모든 가능한 던전 조합을 확인하는 DFS를 사용하므로 O(2^n)